본문 바로가기
정부 정책 모음집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혜택 한방에 정리

by 백억꿈 2024. 2. 14.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혜택 가입조건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에 대한 조건

청년희망적금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

청년도약계좌에 원활하게 연계 가입할 수 있도록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 가입시점에 일시 납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혜택

 

[주요 조건]

1) 일시납입금액은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 납입가능

 

2)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된다고 간주함

 

3) 월 설정금액은 40,50,60,70만원 중 하나를 선택 ( 단, 계좌 개설 이후에 변경 불가)

 

4)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해야 함

예시) 40만원 : 200만 원, 240만 원,,,, 1240만 원, 1280만 원

         50만 원 : 200만 원, 250만 원,,,,,, 1250만 원, 1300만 원

 

5) 일시납입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지급하며, 정부기여금 규모는 월 설정금액, 가입기준 개인소득에 따른 매칭비율 및 일시납입금이 전환납입된다고 간주되는 개월수에 따라 결정됨

- 일시납입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 영업일 이내에 지급 : 정부기여금 일시지급

 

6) 신규납입은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하며, 60개월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가능하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에 대한 모든 궁금증 해결

1) 일시납입 시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모두 납입해야 하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만기수령금 이내에서 원하는 금액을 일시납입하면 됩니다.

 

2) 일시납입 시 월 설정금액을 반드시 70만 원으로 설정해야 하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만기액은 40,50,60,70만 원에서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만, 월 설정금액과 기간에 맞게 일시납인을 완료한 경우에는 변경이 불가하며, 설정기간 동안은 추가 납입이 불가합니다.

예시) 만기수령금이 1200만 원일 경우, 40만 원 * 30개월 or 50만 원 *24개월 설정가능

 

3) 일시납입 기간이 지나면 매월 얼마까지 납입가능한가요?

: 일시납입에 따른 전환기간이 종료되면 매월 최소 1000원 이상 최대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합니다. 중간에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납입하지 않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4) 일시납입을 하면 청년도약계좌 만기일이 앞당겨지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일시납입을 하더라도 5년이 지나야 만기해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추진 중에 있으며, 중도 해지이율도 시중은행 3년 만기 적금금리 내외 수준으로 상향할 예정입니다.

 

5)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반드시 일시납입을 해야 하는 건가요?

: 그렇지 않습니다. 일시납입 정보 입력 기간에 일시납입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매월 자유납입하는 기본 납입 방식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반응형